맨위로가기

화산 폭발 지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산 폭발 지수(VEI)는 화산 분출의 규모를 나타내는 지표로, 0에서 8까지의 숫자로 표현되며 숫자가 클수록 강력한 폭발을 의미한다. 분출량, 분출 높이, 지속 시간, 분화 유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되며, VEI-2부터는 대수 단위로 계산된다. VEI는 화산재 등 분출물의 종류와는 관계없이 결정되지만, 분출에 필요한 에너지와 조용히 흐르는 마그마의 양은 고려하지 않는다. VEI 8은 가장 강력한 폭발로, 지난 1억 3200만 년 동안 약 40건이 있었으며, 가장 최근의 VEI 8 분화는 타우포 호의 오루아누이 분화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산 - 화산쇄설암
    화산쇄설암은 화산 폭발 시 분출된 화산쇄설물이 굳어져 형성된 암석이며, 화산쇄설물은 입자 크기에 따라 분류되고 폭발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생성된다.
  • 화산 - 화산 보딩
    화산 보딩은 특수 보드를 사용하여 화산 경사면을 활강하는 익스트림 스포츠로, 안전 장비 착용이 필수적이며 마찰을 줄이기 위해 특수 소재가 부착된 보드를 사용한다.
  • 자연재해 - 홍수
    홍수는 과도한 강수량, 눈 녹음, 폭풍 해일, 쓰나미 등으로 발생하는 범람 현상으로 인명 및 재산 피해, 환경 파괴를 일으키며, 기후변화로 심각성이 커짐에 따라 제방 건설, 조기 경보 시스템 구축 등 예방 대책과 취약 계층 지원이 필요하지만, 토양 비옥도 증가와 같은 긍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 자연재해 - 환태평양 조산대
    환태평양 조산대는 태평양 주변에서 지진과 화산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지역으로, 여러 지각판의 상호 작용으로 섭입대와 해구가 존재하며 화산의 분포가 뚜렷하다.
화산 폭발 지수
화산 폭발 지수
화산 폭발 지수
화산 폭발 지수
등급 기준
지수 (VEI)설명
0비폭발성 또는 약한 폭발. 전형적인 높이는 100m 미만이다.
1약한 폭발
2폭발성
3격렬한
4파국적인
5대격변적인
6극심한 격변
7초격변적인
8초대격변적인
설명
화산 폭발 지수 (VEI)화산 폭발 지수(Volcanic Explosivity Index, VEI)는 화산 폭발의 상대적인 폭발력을 나타내는 0부터 8까지의 척도이다. 이 지수는 크리스 뉴홀(Christopher G. Newhall)과 스티븐 셀프(Stephen Self)가 1982년에 고안하여 분출량(volume of erupted material), 분출 높이(eruption column height), 지속 시간과 같은 요소를 고려하여 화산 폭발의 규모를 정량화한다.
VEI 척도는 기하급수적이며, 각 지수는 이전 지수보다 약 10배 더 강력한 폭발을 나타낸다. 따라서 VEI 2 폭발은 VEI 1 폭발보다 약 10배 더 강력하고, VEI 3 폭발은 VEI 2 폭발보다 약 10배 더 강력하다. 가장 낮은 두 단계인 VEI 0과 VEI 1은 각각 비폭발성 및 약한 폭발로 정의된다. VEI 0 폭발은 전형적으로 높이가 100m 미만인 반면, VEI 1 폭발은 높이가 100m에서 1km 사이이다. 반면에 가장 높은 단계인 VEI 8은 100km³가 넘는 물질을 분출할 수 있는 초대격변적인 폭발을 나타낸다.
역사VEI는 분출물의 양, 분출 기둥의 높이, 폭발의 지속 시간과 같은 다양한 관찰을 기반으로 화산 폭발의 폭발성을 정량화하기 위해 1982년 크리스 뉴홀과 스티븐 셀프에 의해 도입되었다.
파라미터VEI는 분출물의 양, 분출 기둥의 높이, 폭발의 지속 시간을 포함한 여러 요소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그러나 각 VEI 값에 대한 범위는 10배이다 (척도는 대략 로그)
분류지수는 0에서 8까지의 척도이며, 가장 큰 폭발에는 가장 높은 값이 할당된다. 각 간격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VEI 0비폭발성. 분출량 < 10,000 m³. 분출 기둥 높이 < 100 m. 빈번한 폭발.
VEI 1약한 폭발. 분출량 > 10,000 m³. 분출 기둥 높이 100 m – 1 km. 일일 폭발.
VEI 2폭발성. 분출량 > 1,000,000 m³. 분출 기둥 높이 1 – 5 km. 주간 폭발.
VEI 3격렬한. 분출량 > 10,000,000 m³. 분출 기둥 높이 3 – 15 km. 연간 폭발.
VEI 4파국적인. 분출량 > 0.1 km³. 분출 기둥 높이 10 – 25 km. 10년 주기 폭발.
VEI 5대격변적인. 분출량 > 1 km³. 분출 기둥 높이 > 25 km. 50년 주기 폭발.
VEI 6극심한 격변. 분출량 > 10 km³. 100년 주기 폭발.
VEI 7초격변적인. 분출량 > 100 km³. 1000년 주기 폭발.
VEI 8초대격변적인. 분출량 > 1,000 km³. 10,000년 주기 폭발.
한계화산 폭발 지수는 화산 폭발의 폭발력을 정량화하는 데 유용한 도구이지만 한계가 없는 것은 아니다. 첫째, 지수는 분출물의 양, 분출 기둥의 높이, 폭발의 지속 시간과 같은 특정 요소만 고려한다. 화산쇄설류(pyroclastic flow)나 이류(lahar)의 생성과 같은 다른 중요한 요소는 고려하지 않는다. 둘째, VEI 척도는 주관적일 수 있으며, 다른 과학자들이 동일한 폭발에 대해 다른 VEI 값을 할당할 수 있다. 셋째, VEI는 화산 폭발의 폭발력에 대한 척도일 뿐이며 잠재적인 영향에 대한 척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VEI가 낮은 폭발은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발생하면 VEI가 높은 폭발보다 더 많은 피해를 입힐 수 있다.

2. 정의

화산 폭발 지수(VEI)는 화산 분출의 폭발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0에서 8까지의 정수로 표현되며, 숫자가 클수록 더 강력한 폭발을 의미한다. VEI는 분출물의 양, 분출 기둥의 높이, 분화 지속 시간, 분화 유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된다.[10]

VEI 2부터는 로그 척도가 적용되어, 지수가 1 증가할 때마다 폭발력은 10배 증가한다. 단, VEI 1과 2 사이에는 100배의 차이가 있다.

VEI분출물 양규모[10]분화 유형분연 고도발생 빈도
010000m3 미만비폭발적하와이식 분화100m 미만거의 매일
110000m3 이상소규모하와이식/스트롬볼리식 분화100m - 1km거의 매일
20.001km3 이상중규모스트롬볼리식/불카노식 분화1km - 5km거의 매주
30.01km3 이상다소 대규모불카노식/준 플리니식 분화3km - 15km거의 매년
40.1km3 이상대규모준 플리니식/플리니식 분화10km - 25km10년 이상
51km3 이상매우 대규모플리니식25km 이상50년 이상
610km3 이상거대한플리니식/울트라 플리니식25km 이상100년 이상
7100km3 이상초거대한울트라 플리니식25km 이상1000년 이상
81000km3 이상매우 거대한울트라 플리니식(대분화)25km 이상10,000년 이상



VEI를 결정할 때는 분출물의 종류(화산재, 화산탄, 이그님브라이트 등)는 고려되지 않는다. 즉, 같은 양의 분출물이라도 그 분출에 필요한 에너지는 다를 수 있으므로, VEI가 분화 에너지의 크기를 직접적으로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조용히 흐르는 마그마의 양은 아무리 많아도 고려되지 않는다.[11]

3. 분류

화산 폭발 지수(VEI)는 0에서 8까지로 구분되며, 숫자가 클수록 더 강력한 폭발을 의미한다. VEI는 분출물의 양, 분출 높이, 지속 시간 등을 기준으로 결정된다.[18] VEI 2부터는 로그 척도를 따르므로, 지수가 1 증가할 때마다 폭발력은 10배씩 증가한다.

VEI분출량종류묘사구름 높이주기대기권
영향
성층권
영향
0< 104 m3하와이식분출성< 100 m지속됨무시해도 좋음없음
1> 104 m3하와이식 / 스트롬볼리식 분화온화한100 m - 1 km매일작음없음
2> 106 m3스트롬볼리식 분화 / 불카노식 분화폭발적1–5 km2주 간격보통없음
3> 107 m3불카노식 분화 / 펠레식 분화 / 플리니식 분화대재해3–15 km3달 간격상당함가능함
4> 0.1 km3펠레식 분화 / 플리니식 분화 / 소 플리니식 분화가공할만한> 10 km (플리니식 혹은 소 플리니식)1년 6개월 간격상당함확정됨
5> 1 km3펠레식 / 플리니식발작성> 10 km (플리니식)12년 간격상당함상당함
6> 10 km3플리니식 / 초-플리니식거대함> 20 km50–100년 주기상당함상당함
7> 100 km3초-플리니식초-거대함> 20 km500–1,000년 주기상당함상당함
8> 1000 km3초-플리니식매우-거대함> 20 km> 50,000년 주기[19][20]거대함거대함



지난 1억 3천 2백만년 동안 VEI 8 화산 폭발은 40번 정도 발견되었으며, 그 중 30번은 3천 6백만년 안에 일어났다. VEI 7 화산은 지난 1만년 동안 10번 폭발하였다.

4. 역사상 주요 화산 폭발

발생 수40.1km3 이상대규모준 플리니식/플리니식 분화10 - 25km10 - 100km≥ 10년27851km3 이상매우 대규모플리니식> 25km100 - 200km≥ 50년84610km3 이상거대한플리니식/울트라 플리니식 분화> 25km200 - 500km≥ 100년397100km3 이상초거대한울트라 플리니식> 25km500 - 1,000km≥ 1000년5 (+ 추정 2)81000km3 이상매우 거대한울트라 플리니식(대분화)> 25km> 1,000km≥ 10,000년0

[10][13][14]

오르도비스기부터 홍적세에 걸쳐 VEI 8 이상의 화산 폭발이 47회 발생했으며, 그 중 42회는 3600만 년 이상 전의 분화이다. 가장 최근에 일어난 VEI 8의 분화는 2만 6500년 전 뉴질랜드의 타우포 호 부근에서 일어난 Oruanui eruption|오루아누이 분화영어이다.[15]

VEI 7 이상의 분화는 매우 드물지만, 발생하면 엄청난 피해를 야기한다. 예를 들어 1815년 탐보라 산의 분화는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화산 폭발 중 하나로 기록되며, 전 세계적인 기온 하강을 초래하여 '여름 없는 해'를 야기했다. 백두산의 946년 분화는 '밀레니엄 분화'라고도 불리며, 한반도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화산 폭발로 기록되어 있다.

VEI 6 규모의 분화는 100년에 수 회, VEI 5 규모는 50년에 한 번 이상 발생한다. 이러한 분화는 국지적 피해뿐만 아니라, 화산재와 가스 방출로 인해 전 지구적 기후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4. 1. VEI 8

VEI 8은 화산 폭발 지수에서 가장 높은 등급으로, 분출물의 양이 1,000km3 이상인 '매우 거대한(mega-colossal)' 규모의 분화를 의미한다. 분화 유형은 울트라 플리니식(대분화)이며, 분연 기둥의 높이는 1,000km 이상이다.[14] 발생 빈도는 10,000년 이상이다.[14]

오르도비스기부터 홍적세에 걸쳐 VEI 8 이상의 화산 폭발은 47회 발생했으며, 그 중 42회는 3600만 년 이상 전에 발생했다. 가장 최근에 일어난 VEI 8 분화는 2만 6500년 전 뉴질랜드의 타우포 호 부근에서 일어난 Oruanui eruption|오루아누이 분화영어이다.[15]

다음은 VEI 8에 해당하는 화산 폭발의 예시이다.

화산(분화명)장소연도
Scafells|스카펠스 산괴영어영국오르도비스기
Glen Coe|글렌 코영어영국실루리아기 (4억 2000만 년 전)
라 가리타 칼데라 (Fish Canyon Tuff|피쉬 캐니언 화산재영어)미국 콜로라도 주2700만 년 전[16]
옐로스톤 (Huckleberry Ridge Tuff|허클베리 릿지 화산재영어)미국220만 년 전
Galán|갈란 산영어아르헨티나220만 년 전
옐로스톤 (Lava Creek Tuff)미국BP 640,000
토바 호인도네시아BP 73,000
타우포 호 (Oruanui eruption|오루아누이 분화영어)뉴질랜드BP 26,500


4. 2. VEI 7



VEI 7은 화산 폭발 지수에서 두 번째로 높은 등급으로, 분출물의 양이 100km3 이상인 '초거대한(super-colossal)' 규모의 분화를 의미한다. 이러한 분화는 1,000년에 한 번 이상 발생할 정도로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14]

다음은 VEI 7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화산 폭발 사례이다.

화산 (분화명)장소연도
발레스 칼데라 (Lower Bandelier eruption)미국 뉴멕시코주147만 년 전
발레스 칼데라 (Upper Bandelier eruption)미국 뉴멕시코 주115만 년 전
도야 칼데라일본 홋카이도약 106,000 - 109,000년 전
아타 칼데라일본 규슈약 105,000 - 110,000년 전
아소산 (Aso-4)일본 규슈약 90,000년 전
굿샤로 칼데라 (Kp I)일본 홋카이도약 39,000년 전
시코츠 칼데라일본 홋카이도약 44,000년 전
플레그레이 평원이탈리아약 37,000년 전
아이라 칼데라 (이토 화산류)일본 규슈약 30,000년 전
쿠릴 호러시아 캄차카반도기원전 6440 ± 25년
크레이터 호 (마자마 산 분화)미국 오리건주약 7700 ± 150년 전
기카이 칼데라 (아카호야 분화)일본 규슈 남부약 7,300년 전
산토리니 칼데라 (미노스 분화)그리스 산토리니기원전 1620년대
타우포 호 (하테페 분화)뉴질랜드 북섬181년
백두산 (946년 분화)조선 / 중국 국경946년
사마라스 화산 (린자니 산)인도네시아 롬복섬1257년
탐보라 산 (1815년 분화)인도네시아 숨바와섬1815년



이 중 백두산의 946년 분화는 '밀레니엄 분화'라고도 불리며, 한반도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화산 폭발로 기록되어 있다. 이 분화로 인해 발해가 멸망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으나, 확실한 근거는 부족하다. 탐보라 산의 1815년 분화는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화산 폭발 중 하나로, 전 세계적인 기온 하강을 초래하여 '여름 없는 해'를 야기했다.

4. 3. VEI 6

화산 폭발 지수(VEI) 6은 '거대한' 규모의 분화로, 10km3 이상의 분출물을 방출한다. 분화 유형은 플리니식 분화 또는 울트라 플리니식 분화이며, 분연 기둥의 높이는 25km 이상, 분화운의 반경은 200-500km에 달한다. 이러한 규모의 분화는 100년에 수 회 정도 발생한다. 지난 1만 년 동안 39회의 VEI 6 분화가 기록되었다.[14]

다음은 VEI 6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화산 분화 사례이다.

화산 (분화명)위치연도
아소 산일본(Aso-2) 약 141,000년 전, (Aso-1) 약 266,000년 전
아칸 칼데라일본약 120,000 - 210,000년 전
하코네 칼데라일본약 60,000 - 65,000년 전
굿샤로 칼데라일본(Kp II/III) 약 87,500년 전, (Kp VI) 약 190,000년 전, (FWT) 약 400,000년 전
디아블로틴 산도미니카 연방약 30,000년 전
아사마 산일본약 16,000년 전
도와다 칼데라일본약 15,000년 전, 약 36,000년 전
사쿠라지마 산일본약 13,000년 전
톨루카 산멕시코약 10,500년 전
옥목 산미국 알래스카 주약 8,300년 전
에트나 산이탈리아약 8,000년 전
마슈 칼데라일본약 7,600년 전
베냐미노프 산알래스카 반도기원전 1750년 전후
베수비오 산 (아벨리노 분화)이탈리아기원전 1660 ± 43년
아니아크차크 산미국 알래스카 주기원전 1645년경
옥목 산미국 알래스카 주기원전 400년경
암브림 화산바누아투100년
일로팡고 화산엘살바도르450 ± 30년
처칠 산 (화이트 리버 화산재)미국 알래스카 주750년경 (1,200년 전)
사마라스 산・린자니 산인도네시아1257년
콰에 해저 화산바누아투1452년 또는 1453년
와이나푸티나페루1600년
라키 화산아이슬란드1783년, 934년
크라카토아인도네시아1883년
산타 마리아 산과테말라1902년
노바룹타미국 알래스카 주1912년
피나투보 산필리핀1991년

4. 4. VEI 5



화산 폭발 지수(VEI) 5는 '매우 대규모'로 분류되며, 플리니식 분화가 발생한다. 분출물의 양은 1km3 이상이며, 분연 기둥의 높이는 25km를 초과한다.[10] 분화 빈도는 50년 이상이다.[14]

다음은 VEI 5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화산 분화 사례이다.

화산 (분화명)장소연도
헤클라 산 (Hekla 3 eruption|헤클라 3 분화영어)아이슬란드기원전 1021 +130/-100년
Mount Meager (British Columbia)|미거 산영어캐나다기원전 약 400년 (BP 2350)
베수비오 산 (79년의 분화|79년 분화영어)이탈리아79년
Mount Edgecumbe/Putauaki|푸타우아키 산영어뉴질랜드300년경
하루나 산일본525년
도와다 호915년
마슈 산BP 약 1000
아사마 산1108년
사쿠라지마 산1471년
홋카이도 고마가타케 산1640년
우수산1663년
후지 산 (호에이 대분화|호에이 대분화한국어)1707년
다루마에 산1739년, 1667년
타라웨라 산뉴질랜드1886년
아궁 산인도네시아 발리 섬1963년
세인트헬렌스 산 (1980년의 분화|1980년 분화영어)미국1980년
엘 치촌 산멕시코1982년
하드슨 산칠레1991년
차이텐 산2008년
푸예우에 산2011년
훙가 통가 (2022년의 분화|2022년 분화영어)통가2022년


4. 5. VEI 4

VEI영어-4는 cataclysmic(대규모) 규모의 화산 폭발로, 화산쇄설물의 양은 0.1km3 이상이다. 분화 유형은 준 플리니식 분화/플리니식 분화이며, 분연 고도는 10 - 25km, 분화운의 반경은 10 - 100km에 달한다. 10년 주기로 발생한다. 지난 1만 년간 발생 수는 278건이었다.[14]

다음은 VEI 4에 해당하는 화산 폭발의 예시이다.

화산 (분화명)장소연도
하루나 산일본489년
라우스 산일본BP 1400
고즈시마 섬일본838년
가이몬다케 산일본885년, 874년
니이지마 섬일본886년 - 887년
기리시마 산일본1235년
나스다케 산일본1408년 - 1410년
이즈오 섬일본1421년, 1183년, 713년
신모에다케 산일본1716년 - 1717년
와타지마 섬일본1741년 - 1742년
미야케지마 섬일본1763년 - 1769년, 850년
사쿠라지마 산일본1779년 - 1781년
아사마 산일본1783년, 1128년, BP 1650
스와노세지마 섬일본1813년
우수산일본1853년, 1822년, 1769년
펠레 산마르티니크1902년
사쿠라지마 산 (다이쇼 대분화)일본1914년
홋카이도 고마가타케 산일본1929년, 1856년, 1694년
쇼와신잔일본1934년 - 1935년
파리쿠틴 산멕시코1943년 - 1952년
헤클라 산아이슬란드1947년
가룽궁 산인도네시아 자바 섬1982년
스퍼 산미국1992년
미국 알래스카 주2008년
에이야퍄들라예쿠틀 (2010년의 분화)아이슬란드2010년
무라피 산인도네시아 자바 섬2010년
후쿠토쿠오카노바일본2021년



이 중 1902년 펠레 산 분화는 마르티니크의 생피에르 시를 완전히 파괴하고 3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냈다.[10] 1914년 사쿠라지마 산의 다이쇼 대분화와[10] 2010년 에이야퍄들라예쿠틀의 분화는 항공 대란을 초래하기도 했다.[10]

5. 한계

화산 폭발 지수(VEI)는 화산재, 용암 등 모든 분출물을 동등하게 취급하며, 분출물의 밀도나 기포성(가스 기포)은 고려하지 않는다. 또한, 분출의 에너지 출력(위력)을 고려하지 않아, 선사 시대 또는 관측되지 않은 분출의 경우 VEI를 결정하기 어렵다.

VEI는 분출의 폭발 규모는 잘 나타내지만, 이산화황 배출이 대기와 기후에 미치는 영향은 제대로 정량화하지 못한다.[9] 예를 들어 2004년 조지아나 밀스, 로이 고든 가드너와 엘리너 헤이우드 등은 이산화 황의 양과 더불어 기후 변화를 측정하지 못한다는 논문을 발표했다.[22]

VEI는 분출물의 양으로 결정되며[10], 0에서 8까지로 구분된다. VEI 값이 1 증가할 때마다 분출물의 양은 10배가 된다. 다만, VEI=0은 VEI=1 미만의 모든 것을 포함하며, VEI=1과 VEI=2 사이에는 100배의 차이가 있다.

참조

[1] 논문 The Volcanic Explosivity Index (VEI): An Estimate of Explosive Magnitude for Historical Volcanism http://www.agu.org/b[...]
[2] 웹사이트 Volcanic Explosivity Index (VEI) http://www.volcano.s[...] Smithsonian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4-08-21
[3] 논문 Revised Minoan eruption volume as benchmark for large volcanic eruptions 2023-04-29
[4] 서적 Timescales of Magmatic Processes: From Core to Atmosphere Wiley-Blackwell 2011
[5] 서적 Volcanoes, Earthquakes and Tsunamis Teach Yourself 2010
[6] 논문 The largest volcanic eruptions on Earth https://eprints.qut.[...] 2010
[7] 논문 The size and frequency of the largest explosive eruptions on Earth
[8] 서적 Volcanoes of the Worl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0
[9] 논문 Volcanic Aerosols: The significance of volcanic eruption strength and frequency for climate http://eodg.atm.ox.a[...]
[10] 웹사이트 巨大噴火で何が起こるか? http://www.kazan-g.s[...] 鎌田桂子
[11] 웹사이트 5章 噴火の大きさを測る http://www.edu.gunma[...] 早川由紀夫研究室 2009-07-14
[12] 논문 噴火マグニチュードの提唱 日本火山学会 1993-12-20
[13] 논문 The radius of the umbrella cloud helps characterize large explosive volcanic eruptions 2022-01-16
[14] 문서 「ここ10000年の発生数」は、1994年にスミソニアン博物館がGlobal Volcanism Programの一環として調べた数値である。
[15] 논문 The size and frequency of the largest explosive eruptions on Earth
[16] 문서 地質学の国際標準試料となっている。
[17] 논문 The Volcanic Explosivity Index (VEI): An Estimate of Explosive Magnitude for Historical Volcanism http://www.agu.org/b[...] 2019-04-16
[18] 웹인용 Volcanic Explosivity Index (VEI) http://www.volcano.s[...] Smithsonian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4-08-21
[19] 서적 Timescales of Magmatic Processes: From Core to Atmosphere Wiley-Blackwell 2011
[20] 서적 Volcanoes, Earthquakes and Tsunamis https://archive.org/[...] Teach Yourself 2010
[21] 서적 Volcanoe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0
[22] 논문 Volcanic Aerosols: The significance of volcanic eruption strength and frequency for climate http://eodg.atm.ox.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